본문 바로가기

영상리뷰

(16)
[ENG] 프로덕트 오너(Product Owner), 그들은 누구인가 | 일하는 우리 |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의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, 개발, 출시, 분석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사람이다 PO는 모두가 보고 있기 때문에 감정을 공개적으로 보이면 안 된다. PO는 경청하고 감정과 직관에 치우치지 않고 사실을 기반으로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 할 책임이 있다. PO는 독재자처럼 군림해서는 안 된다. PO는 늘 명확한 사실과 데이터를 가지고 설득해야 한다. PO는 책임은 있지만, 권한은 없다. PO는 고객을 직접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. PO는 실패를 인정할 줄 알아야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.
해킹은 어떻게 하는걸까? 취약점 해킹이란 뭘까? 제품의 버그,보안취약점 등 설계상 결함을 이용해 공격자의 의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절차나 일련의 명령,스크립트,프로그램 또는 특정한 데이터조각을 말하며, 이러한 것들을 사용한 공격 행위 약점 공격이 실행되는 곳에 따라 로컬 취약점 공격 : 취약점 공격이 공격 대상 자체에서 실행됨. 원격 취약점 공격 : 공격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다른 컴퓨터를 공격 대상으로 함. 항상 최신의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취약점을 보완하거나 최신 버전의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면 위협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다
애자일무새에게 던지는 직구, 폭포수 모델의 장점은? | 궁금쓰크럼 Ep 2. 애자일 VS 폭포수 모델 폭포수 모델 : 안정적이고 예측가능 에자일 : 능동적이고 예측불가능한 상황에서 사용 -기본적으로 결과값이 명확한 작업에서는 폭포수가 유리함
게임에 버그가 오지게 많은 이유 실시간 동작게임으 위해서는 조건절이 필수불가결인데 각가의 플레이어의 조작이 천차만별이기때문에 제작자가 예상하지못한 조건절의 오류가 발생 할 수있음 이를 해결하기위해서 베타테스트의 실행은 필수적이다
치트 오 매틱의 원리와 방어방법 방식 : 렘영역에서 자연스럽게 실행되야할 자료파트에 직접적으로 개입해 결과값을 수정 방어방법 : 암호화를 통해 방어할수있지만 금방 뚫리기때문에 주기적으로 암호화방식을 수정해야함
What is OSI Model? 레벨 PDU 프로토콜 기능 7 (Application) Data HTTP, FTP, DNS, DHCP, SMTP, NFS, RTSP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층이다. 사용자 인터페이스, 전자우편,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. Ex. 텔넷, HTTP, SSH, SMTP, FTP 6 (Presentation) Data JPEG, MPEG, SMB, AFP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한다. 필요한 번역을 수행하여 두 장치가 일과되게 전송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Ex. 그래픽 등의 확장자 (jpg, gif, mpg) 5 (Session) Data SSH, TLS, ISO8327, Apple talk, NetBIOS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(port) ..
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이야기 [OSI 7 Layer/네트워크] 아래의 물리적인 영역부터 우리가 사용하는 application영역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주소와같은 데이터를 씌움
AWS?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가요? 클라우드 : 서버에서 이용자가 요구한 만큼의 컴퓨터자원을 제공\ AWS(Amazon Web Service) : Amazon Web Services는 안정성이고 확장 가능하며 저렴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